[Restropect] 6주차 과제 3일차 회고
과제 진도 현황 메인 페이지에서 문제를 클릭할 경우, 문제 상세 페이지로 이동 및 렌러딩 코드 미러를 이용하여 유저가 문제 솔루션을 입력하기 위한 코드 에디터 생성 문제 제출를 클릭할 경우, 유저가 입력한 코드를 전달 및 실행 모든 테스트 케이스가 통과할 경우, 축...
과제 진도 현황 메인 페이지에서 문제를 클릭할 경우, 문제 상세 페이지로 이동 및 렌러딩 코드 미러를 이용하여 유저가 문제 솔루션을 입력하기 위한 코드 에디터 생성 문제 제출를 클릭할 경우, 유저가 입력한 코드를 전달 및 실행 모든 테스트 케이스가 통과할 경우, 축...
과제 진도 현황 대략적인 파일 구성 MongoDB Compass를 이용한 데이터 연결 및 메인 페이지 렌더링 로그인 페이지 연결 및 렌더링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3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Set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의 표준 내장 객체 중 하나이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2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2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display:none과 visibility:hidden은 HTML 요소의 내용을 숨기는 역할을 하는 CSS 속성이다.
p, div, 그리고 span은 HTML 문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태그들이다.
이번 포스팅은 프로토타입과 상속의 개념을 정리하며 그 둘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자 함수와 new 연산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1. 언더스코어(Underscore.js)란? 언더스코어는 자바스크립트의 라이브러리로 100가지 이상의 함수를 제공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Immutable’한가 ‘Mutable’한가로 나눌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Data type)은 크게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뉜다.
전역 스코프를 신중히 사용해야 하는 이유 배경 조건 전역 스코프(Global Scope)는 “최상위 공간”이다.
함수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스코프(Scope)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어 보자.
이벤트 객체 속성에 포함된 target과 currentTarget의 차이를 알아보자.
1. 이벤트 등록하기 addEventListener()를 이용해 웹 페이지에서 일어난 이벤트를 감지하고 해당 이벤트의 대상에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한다.
이벤트(Event)란 웹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을 통칭하는 단어이다. (EX- 마우스 클릭, 마우스 오버, 더블 클릭 등…)
DOM에서 요소를 생성 및 수정, 삭제를 할 수 있다.
DOM에서 요소를 선택하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 DOM 정의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은 HTML 문서를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5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객체(Object)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객체 상식 9가지를 소개한다.
1. push() 배열 끝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한다. ```javascript const fruits = [“apple”, “banana”, “orange”]; fruits.push(“watermelon”);
배열을 사용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배열 상식 8가지를 소개한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3가지 키워드를 통해 구분된다.
클로저(Closure)란? “클로저는 자신이 생성될 때의 환경(렉시컬 환경)을 기억하는 함수이다.”
매개변수와 인자의 차이 자바스크립트에서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자(argument)는 함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1. 함수란? 함수(Function)는 영어로 “기능”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특정한 기능을 가진 코드블럭을 뜻한다.
호이스팅(Hoisting) 이란? Hoisting은 “끌어올리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을 끌어올린다는 것 일까?
1. 문자열 역순 출력하기 문제: 반복문을 이용하여 아래에 주어진 문자열을 역순으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var name = "Jihyun"; // 역순으로 한 글자씩 출력하는 반복문을 작성해보세요.
1. break란? break문 은 반복문, switch(조건문) 그리고 레이블문에서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며 이들을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Nullish값이란? 이전 글에서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Truthy와 Falsy로 나누어 진다고 했다.
Truthy vs Falsy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크게 Truthy(진실)와 Falsy(거짓), 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윤년 계산법 윤년이란? 양력으로 4년마다 한번씩 2월이 29일까지 있는 해를 뜻한다.
String.match().length란? String.match().length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String.match()가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indexOf() vs search() 비교 분석
1. 정규식이란? 정규식(Regular Expressions) 은 일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을 다루는 패턴이다.
1. Number.isNaN()이란? Number.isNaN() 은 Number Methods중 하나로 인자가 NaN(Not a Number) 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1. Logical operator란? Equality operator와 Strict equality operator는 모두 Logical operator에 속해있다.
null과 undefined값의 차이 JavaScript에서 null과 undefined은 모두 “값이 없다” 를 뜻한다.
1. Semantic Elements란? semantic을 직역하면 의미론적인 이라는 뜻이다. HTML에서 elements는 non-semantic elements와 semantic elements로 나뉜다.
CLI 즉, Command Line Interface는 Windows OS 기준 ‘명령 프롬프트(cmd)’ 창을 열어서 명령어를 통해 컴퓨터내 폴더와 파일을 관리해주는 것이다.
1. Selectors란? 쉽게 말해, 선택자(Selectors) 는 HTML파일에 스타일을 입힐 범위를 정한다.
1. 링크란? 링크(link)는 우리가 익히 알고있듯 다른 웹페이지나 같은 웹페이지 내에 어느 부분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이다.
소개글
Set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의 표준 내장 객체 중 하나이다.
이번 포스팅은 프로토타입과 상속의 개념을 정리하며 그 둘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자 함수와 new 연산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1. 언더스코어(Underscore.js)란? 언더스코어는 자바스크립트의 라이브러리로 100가지 이상의 함수를 제공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Immutable’한가 ‘Mutable’한가로 나눌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Data type)은 크게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뉜다.
전역 스코프를 신중히 사용해야 하는 이유 배경 조건 전역 스코프(Global Scope)는 “최상위 공간”이다.
함수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스코프(Scope)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어 보자.
이벤트 객체 속성에 포함된 target과 currentTarget의 차이를 알아보자.
1. 이벤트 등록하기 addEventListener()를 이용해 웹 페이지에서 일어난 이벤트를 감지하고 해당 이벤트의 대상에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한다.
이벤트(Event)란 웹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을 통칭하는 단어이다. (EX- 마우스 클릭, 마우스 오버, 더블 클릭 등…)
DOM에서 요소를 생성 및 수정, 삭제를 할 수 있다.
DOM에서 요소를 선택하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 DOM 정의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은 HTML 문서를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객체(Object)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객체 상식 9가지를 소개한다.
1. push() 배열 끝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한다. ```javascript const fruits = [“apple”, “banana”, “orange”]; fruits.push(“watermelon”);
배열을 사용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배열 상식 8가지를 소개한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3가지 키워드를 통해 구분된다.
클로저(Closure)란? “클로저는 자신이 생성될 때의 환경(렉시컬 환경)을 기억하는 함수이다.”
매개변수와 인자의 차이 자바스크립트에서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자(argument)는 함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1. 함수란? 함수(Function)는 영어로 “기능”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특정한 기능을 가진 코드블럭을 뜻한다.
호이스팅(Hoisting) 이란? Hoisting은 “끌어올리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을 끌어올린다는 것 일까?
1. break란? break문 은 반복문, switch(조건문) 그리고 레이블문에서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며 이들을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Nullish값이란? 이전 글에서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Truthy와 Falsy로 나누어 진다고 했다.
Truthy vs Falsy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크게 Truthy(진실)와 Falsy(거짓), 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String.match().length란? String.match().length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String.match()가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indexOf() vs search() 비교 분석
1. 정규식이란? 정규식(Regular Expressions) 은 일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을 다루는 패턴이다.
1. Number.isNaN()이란? Number.isNaN() 은 Number Methods중 하나로 인자가 NaN(Not a Number) 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1. Logical operator란? Equality operator와 Strict equality operator는 모두 Logical operator에 속해있다.
null과 undefined값의 차이 JavaScript에서 null과 undefined은 모두 “값이 없다” 를 뜻한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3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2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2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프로그래머스에 소개된 Level 1 문제 5종을 자바스크립트로 풀이해보았다.
1. 문자열 역순 출력하기 문제: 반복문을 이용하여 아래에 주어진 문자열을 역순으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var name = "Jihyun"; // 역순으로 한 글자씩 출력하는 반복문을 작성해보세요.
윤년 계산법 윤년이란? 양력으로 4년마다 한번씩 2월이 29일까지 있는 해를 뜻한다.
p, div, 그리고 span은 HTML 문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태그들이다.
1. Semantic Elements란? semantic을 직역하면 의미론적인 이라는 뜻이다. HTML에서 elements는 non-semantic elements와 semantic elements로 나뉜다.
1. 링크란? 링크(link)는 우리가 익히 알고있듯 다른 웹페이지나 같은 웹페이지 내에 어느 부분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이다.
display:none과 visibility:hidden은 HTML 요소의 내용을 숨기는 역할을 하는 CSS 속성이다.
1. Selectors란? 쉽게 말해, 선택자(Selectors) 는 HTML파일에 스타일을 입힐 범위를 정한다.
과제 진도 현황 메인 페이지에서 문제를 클릭할 경우, 문제 상세 페이지로 이동 및 렌러딩 코드 미러를 이용하여 유저가 문제 솔루션을 입력하기 위한 코드 에디터 생성 문제 제출를 클릭할 경우, 유저가 입력한 코드를 전달 및 실행 모든 테스트 케이스가 통과할 경우, 축...
과제 진도 현황 대략적인 파일 구성 MongoDB Compass를 이용한 데이터 연결 및 메인 페이지 렌더링 로그인 페이지 연결 및 렌더링
CLI 즉, Command Line Interface는 Windows OS 기준 ‘명령 프롬프트(cmd)’ 창을 열어서 명령어를 통해 컴퓨터내 폴더와 파일을 관리해주는 것이다.